곰시기's

[Linux] CentOS 6.10 - 02. 초기 설정 (1) 본문

Sever/CentOS 6.10

[Linux] CentOS 6.10 - 02. 초기 설정 (1)

곰시기 2020. 11. 6. 10:17
네트워크 설정

- 리눅스는 OS 설치 과정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따로 하지 않았다면 설치 후 따로 설정을 잡아 주어야 한다.


1. 네트워크 설정 파일을 열어보자

  - # 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

ifcfg-eth0 내용 - 설정 전

파라미터 설명
DEVICE eht0 인터페이스 장치명
HWADDR ###### 인터페이스 MAC주소
TYPE Ethernet 이더넷 설정
ONBOOT yes ( default = no ) 부팅 시 이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여부
NM_CONTROLLED no ( default = yes ) GUI 인터넷 사용 관리 툴
BOOTPROTO static ( default = dhcp ) ip할당방식 dhcp : 동적 IP / static : 수동 IP
BROADCAST   브로드캐스트 주소
DEFROUTE yes 시스템에 사용된 Default Routing 사용 여부
PEERDNS yes dhcp서버의 dns정보를 resolv.conf에 저장 하는지 여부
PEERROUTES yes 라우팅 테이블을 DHCP 서버에서 가져올지 여부
IPV4_FAILURE_FATAL yes DHCP로 주소 받아오는데 실패할 경우 실패처리
IPV6INIT no IPv6설정 ON / OFF
IPADDR 192.168.0.224 IP주소
NETWORK 192.168.0.0 네트워크 주소
PREFIX 24 넷마스크의 255.255.255.0과 의미가 비슷 둘다 설정된 경우 이 쪽이 우선
NETMASK 255.255.255.0 넷 마스크 주소
GATEWAY 192.168.0.1 게이트 웨이 주소
DNS1 8.8.8.8 DNS주소 ( /etc/resolv.conf 에서 설정 가능 )
DNS2 8.8.4.4 DNS주소
USERCTL no 일반 계정의 컨트롤 여부

ifcfg-eth0 내용 - 설정 후

2.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값들을 설정해 주면 된다.

  - BOOTPROTO 파라미터의 값을 static으로 주었다면 IPADDR, NETWORK, NETMASK, GATEWAY 값을 설정 해주자

  - 단 자신이 유동 IP를 사용하고 있다면 BOOTPROTO 파라미터의 값을 static이 아니라 dhcp로 설정

 

3. GATEWAY 설정

  * 파라미터 BOOTPROTO 값을 static으로 ip를 수동 할당한다면 아래를 진행하고 dhcp로 자동 할당하였다면 넘겨도 무관

  - network 파일을 열고 : # vi /etc/sysconfig/network

  - HOSTNAME 밑에 GATEWAY 설정을 추가 : GATEWAY=192.168.0.1

 

4. DNS 주소 설정

  * 파라미터 PEERDNS 값을 yes로 주었다면 넘겨도 무관

  - # vi /etc/resolv.conf

  - nameserver 8.8.8.8

 

5. network 서비스 재시작

  - /etc/init.d/network restart 또는 service network restart

 

6. 외부 연결 확인

  - ping 8.8.8.8

 

Repository 설정

1. 기존 repository의 backup

  - # cd /etc/yum.repos.d/

  - # mkdir backup

  - # mv *.repo ./backup/

 

2. repository 생성

  - # vi thisRepo.repo

thisRepo.repo의 내용

 

3. yum 작동 확인

  - # yum list | more

  * more 대신 less를 사용하여도 된다.

 

OS update

- 업데이트는 주기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음

 

1. update

  - # yum update

 

** # yum -y update를 하면 설치 확인 질문에서 일괄 y처리가 되므로 빠르게 할 수 있지만 의존성 확인이 불가능하다

   따라서 자주 설치하여 사용하는 패키지 외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.

 

한글 설정 ( 언어 셋 )

- 간혹 OS 설치 중 한글을 설정한 경우에도 한글 설정이 초기화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확인은 할 수 있도록 하자

 

1. 언어 셋 확인
  # locale

locale 명령을 이용한 언어 셋 확인

2. 인코딩 설정 변경

  # vi /etc/sysconfig/i18n

  LANG=ko_KR.eucKR 추가

i18n에 ko_KR추가

3. Profile 수정

  # cd ~

  # vi .bash_profile

  맨 마지막 줄에 LANG=ko_KR.eucKR 추가

 

4. reboot 후 확인

  # locale

설정 후

* 위 내용을 수행 후에도 바뀌지 않으면 /etc/profile 에도 LANG=ko_KR.EUC-KR 추가

Comments